성기노의 정치 피처링

다스-청와대-다스 오간 ‘이명박 25년 측근’ 신학수, 제 2의 김희중 되나? 본문

정치

다스-청와대-다스 오간 ‘이명박 25년 측근’ 신학수, 제 2의 김희중 되나?

성기노피처링대표 2018. 1. 22. 08:00







728x90
반응형



이명박 전 대통령의 국정원 특수활동비 수사가 정점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제 2의 김희중’이 나올 수 있을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검찰은 지난 20일 동시다발 압수수색에 나섰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다스 전·현직 임직원의 주거지 3~4곳 중 다스 감사인 신학수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의 자택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자 정치권에서도 비상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가 과연 또 한 명의 ‘김희중’이 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신 전 비서관은 이 전 대통령의 고향(경북 포항) 후배로, 1993년 이 전 대통령이 국회의원을 지내던 시절 서울 종로지구당 총무부장을 맡으며 인연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명박 정부에서 청와대 총무비서관과 민정1비서관을 지냈다. 


그는 2015년 다스 감사를 맡기 훨씬 이전인 2000년 6월부터 1년 반 동안 다스 충남공장 관리팀장을 맡기도 했다. 


정치권에서는 신 전 비서관이 청와대 근무 시절에도 다스의 경영 상황을 챙겼고, 이상은 다스 회장이 경영상 결정을 내릴 때 청와대와 연락을 담당하는 인물이었다는 말이 돌기도 했다. 


                                                                       ▲ 신학수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



다스와 관한 한 김희중 전 청와대 부속실장보다 훨씬 더 명확하게 사실 관계를 알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검찰은 최근 김성우 전 다스 대표이사 등이 이 전 대통령 집권 시절 청와대에 업무와 관련해 보고했다는 의혹을 조사 중이고, 신 전 비서관의 자택 압수수색 때도 다스의 경영상 의사결정과 관련한 문서와 개인 자료 등을 입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을 끝내는 대로 신 전 비서관을 소환할 방침인데, 향후 신 전 비서관이 어떤 진술을 내놓을지도 주목된다. 


신 전 비서관을 조사할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1부(부장 신봉수)는 다스가 BBK 주가조작 사건으로 손해를 입은 투자금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이 전 대통령이 국가권력을 동원했다는 의혹을 수사 중이다.


 


신 전 비서관이 20년 이상 이 전 대통령 곁을 지킨 만큼 다스 실소유주 의혹이나 투자금 회수에 청와대가 관여했는지 알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이것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이 전 대통령은 상당히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 않아도 그의 알맹이 없고 유감 표명 없는 기자회견에 대해 여론은 차갑게 식어 있다. 


이런 상황에서 자신의 회사 주식 투자금을 되돌려받기 위해 국가 공권력까지 동원했다는 것이 밝혀지면 도덕적으로 회복의 여지가 없는 심각한 국면이 초래될 수 있다. 이같은 의혹 규명에 핵심 키를 쥐고 있는 사람이 바로 신학수 전 비서관이다. 


다스 실소유주 의혹과 관련해서는 이미 이 전 대통령의 오랜 측근인 김성우 전 다스 대표가 “이 전 대통령의 지시로 다스의 전신인 ‘대부기공’이 만들어졌다”는 취지의 자수서(자수하는 내용을 적은 문서)를 낸 바 있다.




검찰 안팎에서는 특활비보다 자동차 부품회사 ‘다스’ 수사가 오히려 이 전 대통령을 옭아맬 ‘결정타’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특히 김성우 전 대표의 자수서에 상당히 구체적인 다스 실소유주 의혹 증언이 담겨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김 전 대표가 2007~2008년 검찰과 특검 조사 때 이 전 대통령과 무관하다는 자신의 진술이 잘못됐다는 점을 인정할 만큼 수사에 협조적인 점도 이 전 대통령에게는 치명타가 될 수 있다. 


다스가 BBK 투자금 140억원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청와대가 개입했다는 의혹의 전모가 드러나는 건 시간문제라는 분석도 나온다. 김희중 전 부속실장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검찰의 수사가 탄탄하기 때문에 이 전 대통령이 (자복하고) 국민들에게 솔직하게 용서를 구하는 게 나을 것’이라는 의견을 피력하기도 했다. 


이렇게 상황이 이 전 대통령에게 불리하게 돌아가면서 그의 곁에서 ‘돈’을 관리했던 최측근들은 대부분 검찰에 협조적이다. 이 전 대통령이 버틸 시간은 이제 얼마 남지 않았다. 이 전 대통령이 기자회견 이후 침묵하는 것도 더 이상 저항할 명분이 없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검찰과 이 전 대통령의 간접 루트 사이에 소환절차와 조사방법 등에 대한 이야기가 서서히 오가고 있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이 전 대통령이 일부 혐의 시인을 대가로 불구속 수사를 원하고 있다는 관측도 있다. 


성기노 피처링 대표(www.featuring.co.kr)


728x90
반응형














Comments